물아일체의 경지
말이 그럴싸해서 왠지 평생 실면서 도달할 수 없을 것 같고 그런 경지다.단어 자체가 물아 하고 일체 하는 경지니까, 우선 물아-자아가 사라지고 난 후, 몸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게 일체의 경지라는 거겠지?자아를 잃어야만 일체를 이룰 수 있다는 면에서 왠지 무섭고 가능하지 않을 것 같고, 심지어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느껴지기도 한다.근데, 그냥 몸과 마음이 하나되는 상태잖아. 자아가 흐려지는 게 선행되어야 한다니까 무시무시한데, 생각없이 행위에 몰입하는 상태가 물아일체… 라는요즘은 생각과 몸이 영 따로 일 때가, 아주 자주 느껴진다.아까 샤워할 때, 클렌져를 머리에 바르고어머!, 했다이건 샴푸가 아니잖아. 얼굴에 발랐었야지.아휴… 일단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살자.물아일체까지는, 나는 잘 모르겠고, 내가 ..
나 하루에 스쿼트 300번도 하는 사람이야!
링피트를 하고 있다.매일은 아니지만 일주일에 세 번 정도는 하려고 마음을 먹었다.몸무게가, 내가 상상할 수 없는 숫자를 찍었을 때가 있었고 그 이후로는 체중계에 올라가지 않아서 몇 키로까지 살이 쪘었는지도 정확히 모른다.다만, 당시 내모습을 첫 인상으로 기억하는 분들은 나를 꽤나 후덕한 사람으로 기억하고 있었다는 걸, 나중에 알았다.원래는 먹는 것에 비해 살이 안 찌는 편이고, 뼈대도 얇아서 좀 작은 체구에 속했다. 젊었을 땐 그랬고, 이게 평생 갈줄 알았는데, 아…. 출산이…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가 내 몸을 아주 바꿔버릴 수 있다는 걸, 난 진정 몰랐지.뭐 암튼, 2019년인가? 링피트 하면서 식단을 했었다. 내가 말하는 홈트는, 나한테는 링피트다.링피트는 짱이다.식단과 링피트, 땀복으로 6개월 만..
2025년 계획
2025년에는책을 더 많이 읽고 핸드폰 사용 시간을 하루 2시간 이내로 줄이고 운동을 꾸준히 하고 잠을 더 많이 자려고 한다.책은, 적어도 한 달에 두 권씩은 읽어야지. 집에서는 소설이나 에세이 위주로, 회사에서나 차타고 왔다갔다 할 때는 공부가 될만한 책으로. 안그래도 책을 또 잔뜩 샀으니, 이젠 읽어야지.운동은 주 2회는 해야지. 야외에서 하는 운동도 좋지만, 안 되면 집에서라도... 라고 생각은 하지만, 아마도 링피트를 주 2회 하는 게 최선이지 않을까 싶다. 가끔은 산책하듯 걷거나 자전거를 탈 수도 있고, 링피트가 너무 지겨우면 저스트 댄스를 할 수도. 뭐 암튼, 주 2회 정도는 약간 땀이 날 정도로 운동을 해야지.잠은, 7시간도 못 잤을 때랑, 7시간 정도 잤을 때랑 8시간 정도 잤을 때, 컨디..
심란한 마음을 다시 다잡아야지
사실, 제목은 이렇게 쓰고도 다잡...는다기보다는 그냥 좀 툴툴대고 싶은 마음이다.아니, 여기서 더 뭘 어쩌라는 말인가. 그렇게 해달라서 그렇게 하면, 그거 말고 아까 하던거 하라고 하는.이런저런 말 듣는 거 싫으니, 고마 다 때려치고 싶다.그래도, 안 할 수는 없겠지? 그래, 뭐 어쩌겠어. 안 할 수는 없고, 욕 먹기도 싫으면 더더 열심히 준비해야지. - 아유, 하기 싫어. 흥칫뿡이다. 요즘은 내년을 어찌 보낼지, 그리고 그 후로 긴 시간을 어찌 보낼지에 대해 고민한다.내년에도 워크샵을 하긴 할텐데, 지금까지 해온 워크샵과는 비슷하면서도 좀 다른 걸 해볼까 싶다. 대략적인 계획은 세워두긴 했는데, 막상 하려면 만들고 뭐하고 하려면 재밌고도 골머리가 아프겠지.이걸 내가 왜 한다고 했을까... 후회도 하겠..
MMPI :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
MMPI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입니다.정상적인 '행동'은 - 해야 하는 걸 하고 있는가 - 하지 말아야 하는 걸 안 하고 있는가 정도로 바꿔서 표현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 해야 하는 걸 안 하는 - 하지 말아야 하는 걸 하는행동의 정도가 평균 수준에서 벗어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정도의 문제는 빈도/강도/지속시간 면에서, 수치화 될 수 있고, 이렇게 수치화된 정보는 객관적인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마음, 그러니까 생각이나 감정의 문제는 직접 관찰되기보다는 표정이나 말, 말투, 행동이나 태도 등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으로 관찰이 됩니다. 그래서 마음을 측정할 때, 표정, 말, 말투, 행동, 태도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보고하게 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