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유할 수 있는/임상, 상담 심리 지식

타당화와 합리화

타당화와 합리화는 겉보기에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심리학적 관점에서 매우 다른 개념입니다.

타당화


타당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상대방의 감정과 경험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 판단 없이 상대방의 입장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 상대방의 감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다.

타당화는 상대방의 감정이나 경험이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그 행동이나 생각을 옳다고 동의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합리화


합리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 심리적 방어기제의 하나로 작용합니다.
- 불편한 진실이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객관적 사실보다는 주관적 해석에 기반합니다.

합리화는 자신의 행동을 타당화하고 책임감을 덜 느끼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타당화와 합리화의 주요 차이점

 

1. 목적: 타당화는 상대방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합리화는 자신을 정당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대상: 타당화는 주로 타인의 감정에 대해 이루어지는 반면, 합리화는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해 이루어집니다.

3. 과정: 타당화는 상대방의 입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지만, 합리화는 현실을 왜곡하거나 재해석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4. 결과: 타당화는 상호 이해와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합리화는 자기기만이나 책임 회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심리적 기능: 타당화는 상대방의 심리적 안정과 자존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합리화는 자신의 불안이나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타당화와 합리화는 서로 다른 목적과 과정을 가진 심리적 메커니즘입니다. 타당화는 건강한 의사소통과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반면, 합리화는 단기적으로는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개인의 성장과 관계 발전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당화를 통한 상호 이해와 공감을 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