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유할 수 있는/마음과 행동 관리에 대한 일반 지식

(45)
역할 유연성 누구에게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다수의 역할이 주어진다. 그리하여... 상황이나 시간에 따라서 누군가를 부르는 호칭이 제각각이고, 이와 함께 누군가의 말투와 태도도 달라진다. 간단한 예로, 어떤 여자는 직장에서 동료 또는 친구면서 후배인 동시에 상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 여자는 집에서 어떤 남자의 아내인 동시에 부모님에게는 딸이고, 시부모에겐 며느리이고 형제 남매들에겐 동생이거나 누나 이기도 하다. 어떤 남자 역시 일하는 곳에서는 친구, 동료, 후배, 상사 역할을 맡는다. 그 남자는집에 가면, 어떤 여자의 남편인 동시에, 부모님에게는 아들이고, 사위이고 오빠나 동생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은, 상대하는 사람이나 상황, 시간에 따라 말투와 행동, 태도가 확연히 달라질 수 있고어떤 사람은, 상당하는 사람이..
자녀 교육 책 낸 심리학자 엄마도 제 자식은 마음대로 못한다 "자녀 교육 책 낸 그 여자도, 제 자식은 마음대로 안 된다고 하던대요." 아동, 청소년의 부모 상담을 하게 되면, 가끔 듣는 말이다. 꼭 똑같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늬앙스의 말을 들을 때가 있다. "그러는 선생님은 애 있어요? 그 애가 선생님 마음대로 되던가요?" 뭐, 이런 식이다. 사실, 심리학을 전공한, 그것도 임상 심리학을 전공하고 심리치료를 하는 여성이, 사실은 발달 심리학을 전공하면 더 할 것 같긴 하지만, 앞으로 아이를 낳아서 키울 생각을 할 때면, 여러 각도에서 심리적인 압박을 느낀다. 스스로도 왠지 보란듯이 아이를 잘 키워야 할 것 같고 주위에서도 "저 사람은 자기 애를 어떻게 키우나" 하고 눈여겨 볼 것 같은 압박감. 행여내 내가 키우는 애가 심리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품행이 나쁜 애가..
내 편 VS 나의 적 내 편은... 내가 기분 좋아하면 덩달아 미소 짓는 사람,내가 울쩍하면 무슨 일 있냐고 걱정하고 같이 슬퍼하는 사람,내가 화내면 씩씩 대면서 같이 화내 주는 사람,내가 곤란해하면 같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애쓰는 사람 나의 적은 내가 기분 좋아하면 기분이 울컥해지는 사람내가 울쩍하면 슬며서 미소 짓는 사람내가 화내면 도망가거나 내게 덤비고 싸우는 사람내가 곤란해하면 행복해하거나 문제를 더 꼬이게 만드는 사람 내 편은 "나와 같은 감정의 흐름을 보이는 사람'으로 "나와 소통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내게 마음으로 실제적으로 도움을 줘서 "나를 든든하게' 해주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이 곁에 있으면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따듯하고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소속감)을 느낀다. 나의 적은 "나의 기분과는 상반되는 감정을 ..
대한민국에서 임상심리사되기 Q&A 이 포스트는 [대한민국에서 임상심리사되기] 포스트에서 자주 받았던 질문들에 대한 일괄적인 답입니다. 임상심리사에 관심이 있어, 개인적으로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을 원하시는 분들은 이 포스트를 우선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1. 임상심리사가 되려면 대학원은 꼭 진학해야 합니까? >> 그렇습니다. 제도적으로는 학부만 졸업하고 1년 ~ 2년 정도 관련 기관에서 수련한 게 증명이 되면 정신보건임상심리사 2급과 임상심리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시험에 응시할 수 있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의 사정을 고려하면, 전반적인 학력 인플레이션이 굉장한 상황이고..특히 심리 쪽은 대학원진학률이 다른 전공에 비해 원채 높았던 분야인데다가, 임상 쪽은 다른 심리 분야 중에서도 대학원 진학률이 더 높습니다. 따라서 학..
대한민국에서 임상심리사 되기 * 이 글은 2010년 중반에 초안이 작성되었고, 2012년 11월에 마지막으로 수정-보완하였습니다. [임상심리사가 하는 일] 1. 심리평가 / 2. 심리치료 / 3. 연구 / 4. 행정 / 5. 제언((자문) 및 수퍼비젼 1. 심리평가는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성격적인 특징이나 정서적인 문제,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광범위한 업무이며, 매우 전문적이고 임상심리사의 가장 특화된 영역입니다. 2. 심리치료는 정신병리가 있거나(우울증, 신경증, 성격장애 등) 적응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완화하도록 도와주는 행위입니다. 정신과 의사와 상담심리사, 특화된 심리치료사들도 심리치료 합니다. 다만, 대상이나 적용방법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 임상심리사들은 개인심리치료와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