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M-IV에서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는 DSM-5에서는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로 명칭이 변경됐습니다.
바뀐 명칭에서 좀 더 신경학적이면서 발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려 했던 의도가 엿보입니다. 이 진단 범주는 변경된 내용이 많은 부분입니다. 아무래도 임상심리 분야에서 일하는 분들은 현장에서 아동, 청소년기의 수검자나 내담자를 만나는 경우가 아주 빈번하기 때문에, 이번 변화에 관심 갖는 분들이 많겠지요.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 변화를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DSM-IV Disorders Usually First Diagnosed In Infancy, Childhood, or Adolescence | DSM-5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정신 지체(Mental Retardation; MR) 1) Mild 2) Moderate 3) Severe 4) Profound 5) 정도를 세분화할 수 없는 | 1. Intellectual Disabilities(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로 명칭 변경 2. Global developmental delay가 추가됨. 3. Unspecified intellectual Disability(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로 표현 바뀜. |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s; LD) 1) 읽기장애 2) 산술장애 3) 쓰기장애 4) NOS | Specific Learning Disorder로 명칭 변경 - with Impairment in reading - with Impairment in written expression - with Impairment in mathematics * Dyslexia, dyscalculia라는 용어를 명시함. |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1) 표현성 언어장애 2) 혼재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3) 음성학적 장애 4) 말더듬기(Stuttering) 5) NOS | 1. 하위진단 추가 - Language Disorder 2. 진단명 변경 - Speech Sound Disorder - Childhood-onset fluency disorder(Stuttering) -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
광범위성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 1) 자폐성 장애(Autistic Disorder) 2) 레트장애(Rett's Disorder) 3) 소아기 붕괴성 장애 4)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5) PDD NOS & 비전형 자폐 포함 | 1. 새로운 진단 -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2. 자폐 장애 명칭 변경 ->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3. 자폐 장애 진단 준거의 획기적인 변화 - 차원적 접근을 시도하면서 아스퍼거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통합됨. - 진단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자폐장애를 감별하는 민감도가 상승하면서 유병율이 낮아짐. 자폐로 진단되지 않은 발달장애군은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라는 새로운 진단으로 진단될 여지가 큼. - 3세 이전 발병 기준이 ‘early childhood’로 완화됨. - ADHD와 공병진단 가능 4. 레트 장애 삭제 |
주의력결핍 파괴적 행동장애(Attention-Deficit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1) ADHD 2) ADHD NOS 3) 품행장애(CD) 4) 반항성 장애(ODD) 5) NOS | 1. 주의력결핍 파괴적 행동장애 중에서 ADHD(Attention-Deficit/Hyper Activity disorder)만 남고 품행장애와 반항성 장애는 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로 넘어감. 2. 성인 ADHD에 대한 진단 준거가 추가됨. 3. 발병 연령이 7세에서 12세로 늦춰짐. |
운동 기술 장애(Motor Skills Disorders) 1)발달성 근육운동 조정장애 | 1. Motor Disorders로 변경 2. 하위진단 구성의 변화 - Developmental coordinations Disorder - 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
틱장애(Tic disorders) 1) 뚜렛 장애(Tourett's Disorder) 2) 만성 운동 또는 만성 음성 틱장애 3) 일과성 틱장애 4) NOS | 진단이 약간 더 세분화되어 추가됨. 뚜레, 만성 틱 외에 - Provisional tic disorder - other specified tic disorder - unspecified tic disorder - other specifi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 unspecifi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
배설 장애(Elimination Disorders) 1) 유분증(Encopresis) 2) 유노증(Enuresis) | 배설 장애는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에서 떨어나 나옴. |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급식 및 섭식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of Infancy or Early Childhood) 1) 이식증(Pica) 2) 반추장애 3)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급식장애 | 이식증과 반추장애는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장애군으로 넘어갔음. 이 장애군에는 Avoidant/Restrictive Food Intake Disorder 및 Anorexia Nervosa와 Bulimia Nervosa, Binge-Eating Disorder가 포함되어 있음. |
유아기, 소아기 또는 청소년기의 기타 장애(other Disorders of Infancy, Childhood, or Adolescence) 1) 분리불안 장애 2) 선택적 함구증(Selective Mutism) 3)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반응성 애착장애(RAD) 4) 상동증적 운동장애 5) NOS | 불리불안장애, 선택적 함구증은 불안장애 하위진단으로 넘어갔음. |
아무래도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에서 가장 관심이 높은 하위 진단은 자폐 스펙트럼과 ADHD일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한 DSM-5에 대한 장단점(비판)에 대한 언급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일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서의 장점으로는 Subtype이 Spectrum으로 바뀌면서, 실제 임상에 더 가까워졌다고 합니다. 실제로 관련 전문가들은 아스퍼거를 ‘고기능 자폐’라고 부르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감별진단의 민감성이 높아지면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과 정상발달의 아동을 더 잘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전엔 아스퍼거로 분류되던 아동이 ‘자폐’라는 진단명을 부여받게 되면서, 이에 대해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을 거라 예상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전에는 자폐로 진단되어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던 아동과 부모들이, 더 이상 자폐가 아닌,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라는 신생 장애로 진단명이 바뀌면서, 많은 아동들이 사회적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하더군요. 이 때문에, 미국 내에서는 보험문제가 걸리면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ADHD에서는 onset 연령이 7세에서 12세로 늦춰진 것과 관련해서, 아동-청소년을 ADHD로 진단하는 경우, 청소년기 때 찾아온다고 해도 ADHD 관련 문제행동들은 7세 이전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고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동-청소년기 때 처음으로 진단받는 경우에는 연령기준이 늦춰진 것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다만, 성인이 자신의 증상에 대해 자가 보고를 하는 경우, 오랜 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유병율이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합니다.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는 이상입니다.
reference
1. 2013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춘계 연수강좌 "Updates of DSM-5" 자료집
2.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 4판(DSM-IV)
'공유할 수 있는 > 임상, 상담 심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를 마친 수검자에게 하는 마지막 인사 (7) | 2013.09.09 |
---|---|
[임상: 심리평가 보고서] ‘지각 및 사고’ 영역을 기술하는 요령 (8) | 2013.06.28 |
[임상] DSM-5의 변경사항 (1) DSM-5의 굵직한 변화 세 가지 (14) | 2013.06.22 |
DSM-5 정식 출간 소식 (0) | 2013.05.20 |
[심리검사:로샤] Exner 식 실시 만 있는 건 아니다! (0) | 201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