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검사 (5)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 의뢰사유 맞춤 심리평가보고서 쓰기(심리검사 결과 해석과 사례 개념화) 워크샵 안내 : 2023년 4월 14일, 21일, 28일 금요일 저녁 7시 ~ 10시 안녕하세요. 저는 임상심리전문가 최효주 입니다. 2021년까지 진행했던 '의뢰사유 맞춤 심리평가 보고서 쓰기' 워크샵을 다시 한 번 더 진행하려고 합니다. 기존에 진행하던 내용들을 일부 보강하여 보다 양질의 워크샵이 되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의뢰사유 맞춤 심리평가보고서 쓰기 워크샵의 전체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4월 14일 금요일 오후 7시 ~ 10시에 진행되는 첫 번째 시간에는, 심리검사와 면담, 행동관찰을 토대로 의뢰사유 부분과 행동관찰을 기술하기 위한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과정은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의 차이를 비롯해서, 심리검사 자체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심리평가 과정에서의 면담' 을 토대로 사례개념화의 시작 단계에 대해 자세히 다루려고 합니다. 그리고 각 검사 별 특징과.. [의뢰사유 맞춤] 심리평가 보고서 쓰기 온라인 워크샵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로 임상심리전문가 9년차인 임상심리사 입니다. 저는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을 시작한 2006년부터 지금까지 상급병원과 로컬 병원, 개인 상담소는 물론 경찰서와 법원 등 다양한 현장에서 심리평가를 진행해서 보고서를 작성해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한 2012년 이후로 '심리평가 보고서' 슈퍼비전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사유]에 맞춘 심리평가 보고서 작성에 대한 (온라인) 워크샵을, 총 세 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하려고 합니다. 우선 첫 번째 시간에는 의뢰사유 부분과 행동관찰을 기술하기 위한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과정에는 '심리평가 과정에서의 면담' 부터 시작합니다. 이 시간이, 이제 막 보고서를 쓰기 시작한 분들에게는 '심리평가 보고서'란.. 심리검사를 마친 수검자에게 하는 마지막 인사 보통 종합심리검사는 2시간 ~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빠르면 2시간 이내에도 마치지만, 오래 걸리면 3시간 이상도 걸리고, 더 오래 걸리면 4시간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심리평가자는, 심리검사가 업이니 검사 과정에 잘 훈련돼 있어서 이 시간이 그리 힘들지 않을 수 있지만 평소 책상머리에 앉아 있는 학생들이나 수험생, 사무직 직장인들에게도 2~3시간 정도 한 자리에 앉아서 꼬박 집중하며 검사를 수행하는 게 그리 수월한 일은 아닐 겁니다. 동기가 높은 분들은 2~3시간, 자신에 대해 알아본다는 생각에, 신나게 끝까지 검사에 임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동기가 낮은 아동 청소년 수검자는 검사를 빨리 끝내달라고 칭얼대거나 생떼를 쓰기도 하고, 중간중간 쉬어가는 시간이 필요하기도 합니다.심하면, 하루 안.. [심리검사:로샤] 한계검증(limit test)을 할까, 말까? 로샤 검사에서 수검자가 평범반응을 적게 하는 경우, 엑스너 식 실시에서는 선택적으로 한계검증을 하도록 돼 있습니다. 평범반응 빈도가 적은 이유를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로샤에서 한계 검증 실시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우선, 비효율적입니다. 들이는 시간이나 노력에 비해 얻어지는 정보가 빈약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검사오염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수검자는 심리검사를 평생에 한 번 받는 정도 이지만, 두 번 이상 종합심리검사를 받는 수검자도 많습니다. 로샤검사에서 한계검증을 받았던 수검자는 이후에 다시 로샤 검사를 받게 될 때 자유롭게 자신의 반응을 하는데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샤 검사에 두 번째로 응하게 된 수.. [심리검사:로샤] 수검자가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이라는 반응을 보일 때 로샤 검사를 하다보면 수검자가, "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로 보여요"라는 식의 반응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수검자의 이 반응 "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은 수검자를 이해하기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반응입니다.하지만, 수검자가 대수롭지 않게 흘리듯 말해버리는 경향이 있어서 놓치기 쉬운 반응이기도 합니다. 수검자가 이런 식의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보이는 게 있으니 말은 해야겠는데, 이유를 말하기 싫어서 일 수도 있고, 본인이 진짜 이유를 몰라서 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건, 두 경우 모두 수검자의 내밀한 역동과 관계가 있습니다.따라서, 이 반응 내용도 기록해둡니다. 만약, 검사자가 이런 반응에 대해 추가적인 탐색을 할 수 있다면 시도 해야 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중요한 반응으로는, "보이는 건 .. 이전 1 다음